생리대에서 발암 물질이 검출,
기준치 이하이면 안전한가
몇년 전 유기농 생리대를 포함해서 국내 유통 대부분의 생리대에서 발암물질이 발견되어 온 나라가 들썩들썩했던 일이 있었는데요... 한동안 일부 여성들은 안전한 생리대를 찾아 해외직구로 생리대를 사기도 했고, 안전하다고 밝혀진 일부 제품은 순식간에 품절이 됐었죠.
그런데 오늘 또 생리대에서 발암물질이 나왔다는 소식이 들려오네요...ㅠ.ㅠ...
2014년 이후 우리나라에서 유통된 해외 직구 여성 생리용품 25종 모두에서 발암 물질이 검출되었다고 합니다.
그리고 해외 직구 제품을 포함해서 생리대 전체 품목 중 97%가 넘는 제품에서 발암물질이 나왔다고 합니다.
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이용호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[일회용 생리대 건강 영향 조사] 자료를 분석했는데 전체 조사 대상 666개 품목 중 97.2%인 647개 제품에서 국제보건기구와 국제암센터가 분류한 물질이 검출되었다고 합니다.
전체 조사 대상 666종 중 국제암연구소가 지정한 1급 발암물질인 벤젠, 트리클로로에틸렌이 검출된 품목은 165개(25%), 유럽 화학물질관리청에서 지정한 생식독성물질인 스테렌, 클로포름, 톨루엔, 헥산이 검출된 항목은 639개(95%) 였다고 합니다.
해외 직구 제품 25종에서는 발암물질과 생식독성물질 모두 검출되었다고 해요.
그리고 '유기농' 표시가 된 137개 제품 중에서 20개 품목에서는 벤젠이 검출되었고,
해외직구 '유기농' 생리대 7개 중 6개에서 벤젠이 검출되었다고 합니다. ㅠ.ㅠ....
그렇다면 생리대 말고 탐폰, 팬티라이너는 괜찮을까요? 그것도 아니랍니다.
국내에 유통 중인 생리대, 팬티라이너, 탐폰 등 여성 생리용품 126개 제품을 대상으로 프탈레이트류, 다이옥신류 검출을 조사한 결과 73개 제품에서 프탈레이트류 성분이 검출되었다고 합니다.
**프탈레이트류는 환경 호르몬이라고도 불리는데, 동물에게 생식 발생 독성, 내분비계 교란의 위험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.
** 다이옥신은 국제암연구기구가 인체에 암을 유발한다는 과학적 근거가 충분하다고 판단하는 1급 발암 물질입니다.
몸에 직접 닿는 제품이라 그나마 안전한 제품을 찾겠다고... 아마존이나 아이허브 등에서 비싼돈을 주고 생리대를 직구하신 분들이 많을텐데요.... 그 노력이 헛수고였네요..
해외직구 여성 생리용품 100%에서 발암 물질이 나왔다니요...!!!!'
하지만 식품의약품 안전처에서는 2019년 12월 생리용품 품질점검 결과 발표에서 다이옥신류 위해평가 결과 인체에 유해한 수준은 아니라고 발표했다고 합니다.
결론적으로... 내용을 종합해 보면..
국내 유통 97% 생리용품에서 발암물질이 발견되었지만... 검출량이 기준치 이하인 소량으로 인체에 유해한 수준은 아니라는 것입니다.
인체에 유해한 수준은 아니라고 하지만...
발암물질이 검출되었다는 걸을 안 이상 100% 안심하고 생리대를 사용할 수만은 없을 것 같습니다.
국내 유통 97%에서 발암물질이 나왔다면... 발암물질이 검출되지 않은 안전한 3% 생리대도 있다는 거니까요.
하지만...아직 발암물질이 검출되지 않은 3% 생리용품의 제품명을 확인하지 못했습니다.
그것을 확인하려면 오늘 열심히 인터넷 검색을 좀 해야할 것 같네요.
아래의 링크를 따라 들어가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제공하는 생리대 제품별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.
문서뷰어
www.mfds.go.kr
'건강한 라이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감기 빨리 낫는 법, 감기의 증상과 치료 방법, 대증요법 (0) | 2020.10.04 |
---|---|
당뇨발, 어떻게 관리해야 하나 (0) | 2020.10.03 |
소아 당뇨 (1) | 2020.10.01 |
우리나라 유명한 명의 (0) | 2020.09.30 |
코로나19 격리입원 치료비 Q&A (0) | 2020.09.30 |